로딩 중
class="color-chocolate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Wealthy Life

우리나라 연령별, 성별 평균 연봉, 월평균임금 알아보기

우리나라 연령별, 성별, 고용형태별 월평균 임금은 얼마일까요? 월평균 임금을 알면 평균 연봉도 추정해 볼 수 있겠죠. 또한 소비자 물가지수를 반영하면 평균적인 실질임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내가 받는 임금이 우리나라 평균 수준은 되는지 정부의 통계지표를 기반으로 확인하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연령별-성별-평균-연봉-월평균임금-섬네일
우리나라 연령별, 성별 평균 연봉, 월평균 임금

 

글 순서

 

1. 월임금 총액, 명목임금과 실질임금

2. 우리나라 월평균 임금과 평균 연봉

3. 연령별, 고용형태별 월평균 임금

4. 참고하면 도움이 되는 글

 

 

월임금 총액, 명목임금과 실질임금

 

우리가 일을 하고 받는 임금 수준은 일자리의 질을 판단하는 핵심기준입니다. 월평균 임금이 우리나라 평균보다 현저하게 낮다면 내가 하는 일자리의 질을 높이거나 직무의 전환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월 임금 총액은 근로자가 매달 받는 임금의 총액으로 근로시간이 많고 적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씀드리는 월임금 총액은 정액급여와 초과급여를 합한 월급여액에 직전 연도의 연간특별 급여를 12개월로 나눈 액수를 더하여 산출한 것입니다. 임금에는 명목임금과 실질임금이 있는데요. 쉽게 설명하면 명목임금은 명세서 찍힌 임금을 의미하고 실질임금은 물가를 감안한 임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더 의미가 있는 수치는 실질임금인데요. 임금(賃金)이라는 말은 한글로 바꾸면 "품삯"이 되죠. 임금의 정의와 명목임금과 실질임금의 차이, 역사적 의미 등에 대해서는 아래 글 참고해 보세요. 서민들의 노동의 대가인 임금과 품삯에 대한 상식을 높여보세요.

 

 

임금(賃金)과 품삯
 

임금(賃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우리나라 월평균 임금과 평균 연봉

 

올해의 공식적인 통계자료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22년 통계 기준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월평균 실질임금은 327만원입니다. 연봉으로 하면 3,928만원 정도가 되겠습니다. 성별로 남,녀간의 평균 임금차이가 꽤 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알 수 있는데 여성의 평균 임금은 남성의 65% 수준입니다.

 

실질임금은 월임금 총액을 소비자 물가지수로 나누어 준 값입니다.

 

[3개년 월임금 총액 추이 (단위: 천원)]

년도 월임금총액
(실질금액)
소비자
물가지수
월임금총액
(전체)
월임금총액
(남성)
월임금총액
(여성)
2020 3,180 100 3,180 3,722 2,408
2021 3,191 102.5 3,271 3,833 2,476
2022 3,274 107.71 3,526 4,127 2,683
평균연봉
(2022년)
39,283 - 42,312 49,524 32,196

 

 

[남녀별 월임금 총액추이 그래프]

 

남녀별-월임금-총액추이-이미지
남녀별 월임금 총액추이

 

 

위에 정리해서 알려드린 통계 데이터 전체내용은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세요. 우리나라 성별, 연령별, 고용형태별 월임금 총액 2006년부터 2022년까지 데이터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출처: 국가지표체계 사이트)

 

월평균 임금_202306.xlsx
0.04MB

 

 

 

 

연령별, 고용형태별 월평균 임금

 

우리나라 전체의 월평균 임금보다는 아무래도 연령별 월평균 임금이 궁금하시죠? 20대 중, 후반에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30대에 성장기, 40대에 전성기를 거쳐, 50대 성숙기, 60대에 은퇴하는 쇠퇴기에 접어드는 우리의 Life Cycle과 같은 모습을 월평균 임금의 통계에서도 그대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뉴스에 사회문제로 많이 보도되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 문제도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정규직의 임금은 정규직의 반도 안 되는 약 44% 수준입니다.

 

[3개년 연령별, 고용형태별 월임금 추이 (단위: 천원)]

 

년도 29세이하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정규직 비정규직
2020 2,221 3,387 3,767 3,466 2,406 3,693 1,620
2021 2,265 3,487 3,853 3,610 2,511 3,795 1,681
2022 2,471 3,710 4,195 3,909 2,645 4,078 1,826
평균연봉
(2022년)
29,652 44,520 50,340 46,908 31,740 48,936 21,912

 

 

[연령별 월임금 추이 그래프]

 

연령별-월임금-추이-그래프-이미지
연령별 월임금 추이 그래프

 

 

[고용형태별 월임금 추이 그래프]

-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추세 

 

고용형태별-월임금-추이-그래프-이미지
고용형태별 월임금 추이 그래프

 

 

위의 통계 데이터는 국가 지표체계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원본을 조회하시려면 아래 링크에서 바로가기하여 확인하세요.

 

우리나라 월평균 임금 데이터 바로가기

 

 

 

참고하면 도움이 되는 글

 

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연령별, 성별, 고용형태별 월평균 임금을 토대로 평균연봉이 얼마나 되는지 정부의 통계지표를 기반으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본인의 커리어 개발을 통해 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는 일자리로 전환 또는 직무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NCS에서 직무역량 평가와 학습모듈을 활용하면 내 역량을 다방면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나의 가치와 연봉도 높아질 것입니다. 아래글 확인하여 바로 역량향상 실행하세요.

 

NCS 직무역량, 학습모듈 활용하여 내 역량 다방면 무한대로 확장하기

취업 준비하시는 분, 이직을 고려 중인 분, 다른 분야로 내 역량을 확장하려고 하는 분들은 NCS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꼭 활용하세요. 사무부터 농업까지 우리나라의 모든 직무에 대해 필요한 역량

khowfarmer.co.kr

 

 

NCS , 국가직무능력표준으로 직무 역량 진단하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입니다. 특히 재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들은 NCS를 활용하여 본인의 현재 직무 능력을 진단하고 경력

khowfarm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