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 중
class="color-chocolate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Worthy Life

(145)
수주제품 과제와 연구과제 착수절차 수주제품 과제는 특정한 고객이 당사에 제품 개발 요청을 의뢰하여 진행하는 개발이절차고 연구과제는 주로 연구소 또는 개발팀에서 요소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개발입니다. 수주제품 과제와 연구과제 착수사례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수주 제품 개발 착수 절차 고객은 RFQ (Request For Quotation)라는 견적 의뢰를 영업팀에 송부합니다. 고객이 원하는 개발품의 성능을 제시하고 제품의 재료비와 목표 원가를 산정하여 제시해 달라는 요청서입니다. 고객의 요청에 근거하여 영업팀과 개발팀에서는 제품 개발 검토를 진행하게 되는데, 고객이 요구하는 개발품에 적용할 부품 리스트 (Parts List)를 우선 정리하고, 당사에서 이미 적용 중인 부품과 신규로 적용이 필요한 신규 부품으로 분류합니다. 기존 부품..
상온상압 초전도체 개발의미 짚어보기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는 발표가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초전도체란 무엇이며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상식적인 차원에서 쉽게 짚어보겠습니다. 초전도체(Superconductor)는 전류저항이 0Ω인 초전도 현상과 자기력을 이용한 기술에 사용할 수 있는 마이스너(Meissner) 효과가 일어나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영화 아바타를 보신 분들은 인간이 판도라 행성에 진출한 이유가 언옵테늄이라는 상온 초전도체를 얻기 위해서라는 사실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그러나 전기 저항이 없는 꿈의 물질인 초전도체는 현실세계에서는 극저온에서만 가능한데 고온 초전도체라고 불리는 것도 30K (약 -243℃) 정도로 낮은 온도에서 가능한 물질입니다. 그런데 올해 초에 미국 로체스터대 연구진이 상온인 20.5℃에서 초 ..
지진 안전지대는 옛날얘기 인가? 지진의 안전지대라고 여겨지던 우리나라에도 최근 지진의 발생이 잦아지고 있습니다. 지진(earthquake)은 지구 내부에서 발생한 급격한 변동에 의한 충격파동인 지진파 (Seismic wave)가 지표면에 전달되면서 지반이 흔들리는 현상입니다.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지진이 전 세계적으로 매일 50회 정도 발생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지각구조와 지진의 발생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진이란 지구의 표면은 10~12개의 판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것이 판구조론(Plate tectonics)인데 나누어진 판들이 1년에 수십 cm이하의 속도로 천천히 움직이고, 움직이는 판이 서로 부딪히거나 포개지면서 판 내부와 지각에 힘이 가해지면서 약한 부분이 순간적으로 파괴되면서 지진이 발생합니다. 지진은 음파..
기획제품 특징과 개발착수 사례 알아보기 기획제품은 중장기 제품 개발계획과 경영계획에 반영되어 있는 제품 Line Up 계획에 따라 진행되는 개발입니다. 개발착수 Case는 대표적으로 Standard 제품형이 있고, 더 세분화 하면 기술 Seeds형, 시장 Needs형, 제안영업형으로 구분해 볼 수 있겠습니다. 각각의 특징과 Case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다만, 하기의 사례는 저의 경험에 기준한 것이니 회사의 규모와 업의 특성에 따라 단순화하여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Standard 제품형 Standard 제품은 말 그대로 회사의 대표적인 표준개발 제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50" LED TV를 신규 개발한다고 하면 가장 먼저 표준 Spec으로 개발을 진행하는데 이를 Standard 제품이라고 정의 합니다. 이 Standard 제품이 개..
신제품 개발과제 구분방법 알아보기 무한 기술경쟁 시대에 한 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제품 Concept과 기술이 적용된 신제품 개발이 끊임없이 이루어 져야 합니다. 또한, 연구소 또는 개발팀에서 신제품 개발이 원할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개발 프로세스를 포함한 개발관리 방법도 회사의 규모와 사정에 맞게 최적화 되어야 합니다. 경쟁사 보다 한 발짝 빠르게 코스트 경쟁력을 갖춘 신제품을 출시하기 위해서는 기술역량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 기술력과 기술자원이 낭비 되지않고 온전히 개발활동에 집중될 수 있게 하는 것은 개발 Process와 PLM Syste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ystem)과 같은 개발지원 시스템을 포괄하는개발관리 역량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신제품 개발 목적과 구분 신제품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