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 중
class="color-chocolate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Worthy Life

(145)
개발혁신은 왜(Why), 어떻게(How) 추진해야 하는가 ? 개발혁신이란 무엇이며 추진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무한 기술경쟁 시대에 시장을 선점하고 최대한의 성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신제품을 끊임없이 창출해 내는 개발능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개발능력 극대화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개발혁신입니다. 개발혁신을 왜 추진해야 하는지와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개발혁신이란? 개발(開發)이라는 말은 "개척하여 유용하게 만드는 것", "더 나아지도록 이끄는 것"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 기술보다는 더 향상된 기술로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 즉 "New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입니다. 혁신(革新)이라는 한자어의 뜻은 "가죽을 벗겨 새롭게 한다"..
스파르타코딩클럽 강의 내일배움카드로 수강하기 스파르타코딩클럽은 2020년에 설립된 팀스파르타(주)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코딩 교육기관입니다. 스파르타코딩클럽에서는 왕초보부터 전공자까지 누구나 재미있게 배우는 코딩을 모토로 다양한 온라인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스파르타코딩클럽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코딩 교육 커리큘럼과 내일 배움 카드를 이용하여 국비로 수강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파르타코딩클럽 초보자용 온라인 강의 스파르타코딩클럽 온라인 강의중 초보자용으로 개설된 교육으로는 "코딩이 처음이어도 쉽게 배우는 웹개발 A to Z"가 있습니다. 코딩을 배울 때 첫 번째로 배우면 좋은 과정이 HTML, CSS 등을 사용하는 웹 개발이라고 합니다. 코딩을 하면 바로 그 결과를 화면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쉽게 흥미를 붙일 수 있다고 하는데 ..
프로젝트 (Project) 재무 계획 수립과 승인 프로젝트 재무 계획은 제품 개발을 위해 투입되는 인풋과 개발의 결과로 얻게 되는 아웃풋의 크기를 비교하여 제품 개발에 개발 자원을 투입할 것인지, 개발을 진행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프로젝트 (Project) 재무 계획 수립 시 어떤 내용으로 정리하고, 재무 계획 승인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 (Project) 재무 계획 항목 및 정의 프로젝트 (Project) 재무 계획 수립을 위한 항목과 작성 기준 그리고 작성 담당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제품의 판매 계획을 수립하는데 세부 항목으로는 판매량, 평균 판가, 매출액으로 나누어 수립합니다. 판매량은 지역, 국가, 모델별로 예상 판매량을 월별로 산출합니다. 판매 계획이므로 작성 부서는 영업팀입니다. 매출..
프로젝트 Risk Control 및 재무 계획 프로젝트 리스크 (Project Risk)의 Control 활동은 개발 초기에 정리한 Risk 내용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현재 상황의 Risk로 현실화하는 과정입니다. 프로젝트의 재무 계획은 제품개발 단계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 개발을 해야 하는 당위성을 증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개발 인풋 대비 아웃풋을 정리하는 활동입니다. 프로젝트 리스크 (Project Risk) Control 활동 프로젝트 리스크 (Project Risk)의 대응 방안으로 수용이라는 전략도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발생하거나 발생이 예상되는 모든 Risk에 대해 대응하여 Risk를 줄이고 제거하는 활동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Risk의 중요도 또는 심각도 (Se..
아이폰 14 끝물에 해보는 갤럭시 s23과 비교 아이폰 14는 곧 출시될 아이폰 15에 밀려 구버전 제품이 되겠지만 요즘 핸드폰은 성능이 많이 좋아져서 이제 막 출시된 약간은 불안정할 수 있는 신제품보다는 오히려 모든 것이 안정화된 한 버전 아래 제품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신제품이 출시되면 기존 버전은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추가 할인 등의 기회가 있을 수 있으므로 최 첨단 기능을 많이 사용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폰 14의 끝물에 경쟁 제품인 갤럭시 s23과 성능을 비교해 보고 특장점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폰 구입 시 고려해야 하는 주요 성능 아이폰, 갤럭시 폰 관계없이 최근 제품은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성능은 충분히 차고 넘치는 상황입니다. 통화하고 일상 사진과 동영상 찍고..
프로젝트 Risk 분석과 Risk Management 관리 양식 프로젝트 Risk를 분석하고 Risk가 발생 시의 심각도를 줄이기 위한 Managemet 양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isk의 심각도는 Risk의 발생 확률과 발생 시의 영향도로 판정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따라 많은 Risk 요인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정리하고 대책을 수립해야 시행착오를 격지 않고 개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리스크 (Project Risk)의 분석 방법 프로젝트 리스크 (Project Risk)를 분석하는 목적은 Risk 별로 중요도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입니다.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도출된 Risk가 100개가 있다고 가정해 보면 하나하나의 Risk에 대해 대책을 수립하고 결과를 확인하기에는 너무 많은 Load가 걸리게 될 것..
리스크 관리 계획 , Risk Management 개요 리스크 관리 계획 (Risk Management)은 개발 과정 중에 특정한 일이 발생하여 개발 일정, Cost, 개발 범위 (Scope), 품질 등의 프로젝트 목표에 플러스나 마이너스의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수행합니다.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불 안정하거나 불 확실한 요소를 식별하고 분석하여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불안 요소가 계획대로 줄어들고 제거되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Control 해야 합니다. 개발에 플러스가 되는 요인의 확률과 영향은 증대시키고, 마이너스가 되는 요인의 발생 확률과 영향은 저감 시킬 수 있는 Risk Management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프로젝트 리스크 (Project Risk) 관리 계획 프로젝트 리스크는 만약 그 일이 발생하면 개발 일정..
제품 개발 마스터플랜 목표 시장 정의와 포트폴리오 분석 제품 개발 마스터플랜의 주요 내용은 목표 시장을 정의하고 포트폴리오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목표 시장의 정의를 통해서 개발 제품이 진출할 시장이 목적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서는 목표시장 내에서 당사 제품의 위치를 확인하고 향후의 전개방향을 결정하기 위함입니다. 각 세부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표 시장 정의 목표 시장 정의에서는 해당 제품을 상품 기획하고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해야 하는 당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시장 동향 분석, 경쟁사의 수준 분석, 고객의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이 제품을 상품 기획하는 의도가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합니다. 시장 동향 분석 (Market Analysis) 목표 시장의 규모와 시장 성장률, 당사와 경쟁사의 시장 Market..
제품 개발 마스터 플랜 개요 제품개발 마스터 플랜은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을 위해 개발 품질목표와 개발 일정, 핵심기술 구현방안을 정리하고 자원투입 계획을 승인받기 위한 계획서입니다. 신규 제품을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기 까지는 많은 개발 자원과 일정이 소요됩니다. 이렇게 공을 들여 개발한 제품도 시장에서 빛을 보지 못하고 서둘러 단종되는 경우도 있고, 심지어는 아예 상품화 단계까지 진입하지도 못하고 개발 단계에서 중단 (Drop)되는 과제도 많이 있습니다. 개발 제품이 시장에서 성공하여 경영이익에 기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첫 단추가 바로 제품개발 마스터 플랜을 잘 작성하는 것입니다. 제품 개발 마스터 플랜의 구성과 내용 제품 개발 마스터 플랜 구성 항목은 목표 시장 정의, 포트폴리오 분석, 상품 개요, 핵심 기술 구현 ..
개발 단계 리뷰와 승인 문서 그리고 Postmortem 개발 단계를 리뷰하고 승인하는 과정에 운영되는 문서와 개발이 완료된 후에 진행하는 Postmorte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각 개발 단계가 완료되면 그 단계의 수행 활동을 검증하고 평가하여 차기 개발 단계로 넘어가도 Risk 요인이 없는지 확인하는 절차로 단계 검토 회의 (Review)와 단계 승인 회의 (Approval)가 있습니다. 각 마일스톤 (Milestone)의 최종 결과이자 개발 과제의 진행 중단 (Drop)을 결정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절차이므로 명확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해 회의체의 규정과 책임 권한 등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어 실행되어야 합니다. 검토서 (Review Document)와 승인서 (Approval Document) 개발 프로세스 상에서 검토 (Review)와 승인..
전고체 배터리 특성 기대 효과 동향 살펴보기 전고체 배터리는 2차 전지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기술일까요? 전고체 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과 비교할 때 차별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개발하는 이유 및 개발 진척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울러 전고체 전지의 개발이 성공하고 시장에 출시되었을 때 기대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전고체 배터리와 리튬이온 배터리의 다른 점 전고체 배터리는 이름 그대로 배터리를 구성하는 물질이 전부 고체상태라는 의미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 음극, 분리막 그리고 액체상태의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전고체 전지는 양극, 음극 그리고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의 역할까지 병행하는 구조로 리튬이온 배터리에 구조가 단순합니다. 이에 더해 고체라는 물질의 상은 유동성이 있는 액체보다는 훨씬 견고하고 안정한 상태..
개발 단계별 표준 개발 문서 알아보기 개발 단계(Stage) 별로 운영되는 표준 개발문서에 대한 명칭과 개요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개발 문서에는 각 단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필수 항목과 차기 단계로 전환을 결정하기 위해 개발현황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각 문서는 작성 내용이 표준화되어 개발 규정에 등록하여 운영합니다. 개발 문서 (Document)의 개요 개발 단계 (Stage) 별로 진행할 계획 또는 진행한 개발 활동의 결과물, 점검 내용을 문서로 정리한 것으로 개발 산출물이라고 부릅니다. 개발 산출물은 문서의 명칭과 작성 내용이 양식으로 표준화되어 있고 개발 규정 내에 첨부되어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문서의 명칭과 양식을 표준화하는 이유는 각 개발자가 자기의 경험에 기반하여 제각각의 방법으로 개발 활동을 진행하는 것..
제품 개발 프로세스 개발 기간과 개발 등급 설정 제품 개발 프로세스 진행에 따른 개발 기간의 기준과 개발 등급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발 기간은 제품 개발 착수부터 개발 완료까지 소요된 기간으로, 개발 기간이 짧다는 것은 그만큼 빠르게 품질을 확보하여 생산에 돌입하게 되는 것이므로 짧으면 짧을수록 좋은 망소 특성의 지표이고, 개발 등급은 개발 난이도를 구분하는 단위입니다. 상품화 기간 및 개발 기간 성능이 경쟁사 대비 좋은 제품을 개발했다고 해도 적기에 출시하지 못한다면 신 제품 개발의 의미가 없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쟁 기업 들은 시장을 선점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항상 경쟁사 제품의 개발 동향을 체크하고 출시되는 제품을 벤치마킹하여 언제쯤 어떤 성능의 제품이 출시될 것인지를 예측하는 활동을 수시로 진행합니다. ..
상품기획 부터 단종까지 제품개발 표준 프로세스 제품 개발 표준 프로세스의 범위는 상품화 기획부터 단종 승인 까지를 대상으로 합니다. 요람부터 무덤까지 즉, 제품의 탄생부터 소멸까지 전체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고 이를 "제품 수명관리 사이클"이라고 합니다. PLC (Product Life Cycle) 관리라고도 하지요. 제품 개발 표준 프로세스의 개요 개발 진행 단계 (Stage)와 마일스톤 (Milestone) 등 제품 개발 표준 프로세스의 전반적인 개요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하기의 사례는 프로세스 표준화가 완료된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사례로 회사의 사정에 따라 프로세스를 간소화 또는 세분화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개발 단계 (Stage)의 구분 제품 개발 프로세스는 크게 4 개의 단계 (Stage)로 나누어집니다. 첫 번째 단계는 제품 개발에..
HBM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 이해와 향후 전망 알아보기 HBM은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최근에 ChatGPT 열풍이 불고 전 세계에서 AI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겠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최강국이자 HBM의 선두주자인 우리나라의 기업들도 AI 시대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HBM은 무엇이며 왜 AI시대의 총아로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HBM은 무엇인가? HBM은 High Bandwidth Memory의 약자입니다. 말을 풀어보면 대역폭 (Bandwidth)이 높은 (High) 메모리 (Memory)인데 대역폭이 높다는 말은 data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HBM은 data를 빨리 전송할 수 있는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HBM은 여러 개의 DRAM (Dinamic Random Ac..
P-FMEA , 공정 FMEA 활용으로 공정 품질 개선 P-FMEA (Process FMEA)는 공정 FMEA라고도 하며 제품 제조 프로세스의 잠재적인 고장모드 해석 (Failure Mode Effects Analysis)을 위한 품질 관리 기법입니다. System FMEA (S-FMEA), Design FMEA (D-FMEA)와 더불어 제품 개발의 단계별로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Tool입니다.  금번 포스팅에서는 Process FMEA (P-FMEA)를 통해 공정 품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FMEA의 개념 및 중요성P-FMEA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기법으로, 공정의 안전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P-FMEA를 통해 제품을 제작하는 공정상의 고장 모드를 확인하고..
D-FMEA , 설계 FMEA 활용으로 제품설계 완성도 향상 D-FMEA(Design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는 제품 설계 단계에서 잠재적인 결함을 식별하고, 그 결함의 원인과 영향을 평가한 다음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체계적인 품질 관리 기법입니다. 이는 제품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전체적인 품질과 안정성을 향상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D-FMEA의 주요 목적은 제품의 초기 설계 단계부터 문제점을 사전에 예측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D-FMEA 수행을 통해 제품의 개발 비용을 절감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D-FMEA의 주요 단계 및 수행 절차 D-FMEA를 수행하는 절차를 크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첫 번째, D-FMEA를 활용할 설계 대상 및 범위를 명확히 설정합니다...
S-FMEA , 시스템 FMEA 활용으로 신뢰성 있는 시스템 구축 S-FMEA (System FMEA)는 잠재 고장모드 해석 (Failure Mode and Effects Anaysis) 기법의 한 종류로 개발 초기에 주로 시행하며 제품 System과 Sub system 수준의 결함 해석과 관계 분석을 위해 사용합니다. System FMEA (S-FMEA)의 중요성, 수행 절차와 방법, 실제 적용사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System FMEA의 중요성 FMEA는 시스템 (System), 서브 시스템 (Sub System), 구성 요소 (Component) 및 공정 (Process)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결함을 식별하고 평가하는 공학 기법입니다. System FMEA (S-FMEA)는 주로 시스템과 서브 시스템 간에 상호 작용하는 영향도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사용..
FMEA 잠재 고장 모드 해석 종류 및 전개 방법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종류별 특징과 전개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MEA는 고객 불만을 예방하는 측면에서 개발된 기법으로 수행 과정과 목적을 축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첫 번째, 잠재적인 결함을 확인하고 그 영향의 심각성을 평가합니다. 두 번째, 중점 관리 항목 (Critical Characteristics)을 확인합니다. 세 번째,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설계와 공정상의 결함을 도출하고 중요도 등급을 설정합니다. 네 번째, 결함의 영향을 감소 및 제거하기 위해 각 부문에서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합니다. 위의 수행 결과로써 설계와 생산의 문제들이 해소되고 제품의 불량을 예방하여 고객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FMEA (Failure Mo..
FMEA 잠재 고장 모드 해석 개요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ysis)는 직역하면 "실패 모드와 효과 분석"이 되는데요. 좀 더 의미를 부여하여 설명하면 "잠재적인 고장의 형태를 도출하고 이에 따른 영향도를 분석한다"입니다. 현재 발생하는 문제만으로도 충분히 힘든데, 왜 발생하지도 않은 잠재적인 고장에 대해서도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일까요? 마치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질 것을 우려하여 침식을 전폐하였다는 사마천에 나오는 기우(杞憂)라는 사람처럼 너무 앞서서 괜한 걱정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FMEA라는 Tool 이 유래된 배경과 역사를 아시면 잠재적인 고장을 왜 분석해야 하는지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FMEA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의 유래..